인터넷 프로토콜: Difference between revisions
From IT위키
No edit summary |
No edit summary |
||
Line 18: | Line 18: | ||
* 경우에따라, 단편화가 필요함([[IP 단편화]]) | * 경우에따라, 단편화가 필요함([[IP 단편화]]) | ||
* 모든 상위 계층 프로토콜들(TCP,UDP,ICMP,IGMP 등)이 IP 데이타그램에 실려서 전송됨 | * 모든 상위 계층 프로토콜들(TCP,UDP,ICMP,IGMP 등)이 IP 데이타그램에 실려서 전송됨 | ||
== [[IP 데이터그램]] == | |||
인터넷 프로토콜의 패킷을 '데이터그램'이라고 한다. | |||
데이터 그램의 헤어들은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. | |||
* '''버전숫자:''' IP 프로토콜의 버전을 정의 | |||
* '''헤더길이:''' 데이터그램은 가변의 헤더를 가지게되기 떄문에 수신자가 데이터그램을 수신하면 헤더가 어디서 끝나고 패킷에 캡슐화된 데이터가 어디서 시작하는지 알아야 한다. 따라서 수신자는 전체 길이를 확인하기 위해 필드값에 4를 곱하게 된다. | |||
* '''서비스유형:''' 데이터그램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정의 | |||
* '''전체길이:''' IP 데이터그램의 전체 바이트 수를 정의함 | |||
* '''식별자 ('''[[IP 단편화|단편화]] '''관련):''' 데이터그램이 전송된 근원지 호스트를 구분 | |||
* '''플래그 ('''[[IP 단편화|단편화]] '''관련):''' 세개의 비트로 단편화 관련 정보를 표시함 | |||
** 첫번째 비트 : 사용되지 않음 | |||
** 두번째 비트 : 단편화 금지 필드 | |||
** 세번째 비트 : 1이면 다른 단편이 더 있음을 의미, 0이면 마지막 단편이거나 오직 하나의 단편임을 의미 | |||
* '''단편화 오프셋:''' 전체 데이터그램에서 해당 단편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냄 | |||
* '''생존시간(TTL):''' TTL 필드는 데이터그램이 방문할 수 있는 최대 라우터 수를 정의함 | |||
* '''프로토콜:''' 근원지 IP에서 페이로드가 캡슐화될 때, 이 필드에 상응하는 프로토콜의 번호가 추가됨 | |||
* '''헤더 검사합(Checksum):''' IP는 헤더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합 필드를 추가함 | |||
* '''근원지와 목적지(Destination Address):''' 각각 소스IP와 목적지IP주소를 나타냄 | |||
* '''옵션:''' 데이터그램 헤더는 40바이트까지 옵션을 가질 수 있음 | |||
== 비연결성 == | == 비연결성 == |
Latest revision as of 10:39, 9 April 2023
Internet Protocol
TCP/IP 기반의 인터넷 망을 통하여 데이타그램의 전달을 담당하는 프로토콜
주요 기능[edit | edit source]
- IP 계층에서 IP 패킷의 라우팅 대상이 됨 (Routing)
- IP 주소 지정 (Addressing)
특징[edit | edit source]
- 신뢰성(에러제어) 및 흐름제어 기능이 전혀 없음(Best-Effort Service)
- 한편, 신뢰성을 확보하려면 IP 계층 위의 TCP와 같은 상위 전송 계층에 의존
- 비연결성 데이터그램 방식(Connectionless)
- 패킷의 완전한 전달(소실,중복,지연,순서바뀜 등이 없게함)을 보장 않음(Unreliable)
- IP 헤더 내 수신 및 발신 주소를 포함
- IP 헤더 내 바이트 전달 순서 : 최상위 바이트(MSB)를 먼저 보냄(Big-endian)
- 경우에따라, 단편화가 필요함(IP 단편화)
- 모든 상위 계층 프로토콜들(TCP,UDP,ICMP,IGMP 등)이 IP 데이타그램에 실려서 전송됨
IP 데이터그램[edit | edit source]
인터넷 프로토콜의 패킷을 '데이터그램'이라고 한다.
데이터 그램의 헤어들은 다음의 정보를 포함한다.
- 버전숫자: IP 프로토콜의 버전을 정의
- 헤더길이: 데이터그램은 가변의 헤더를 가지게되기 떄문에 수신자가 데이터그램을 수신하면 헤더가 어디서 끝나고 패킷에 캡슐화된 데이터가 어디서 시작하는지 알아야 한다. 따라서 수신자는 전체 길이를 확인하기 위해 필드값에 4를 곱하게 된다.
- 서비스유형: 데이터그램을 어떻게 처리할지를 정의
- 전체길이: IP 데이터그램의 전체 바이트 수를 정의함
- 식별자 (단편화 관련): 데이터그램이 전송된 근원지 호스트를 구분
- 플래그 (단편화 관련): 세개의 비트로 단편화 관련 정보를 표시함
- 첫번째 비트 : 사용되지 않음
- 두번째 비트 : 단편화 금지 필드
- 세번째 비트 : 1이면 다른 단편이 더 있음을 의미, 0이면 마지막 단편이거나 오직 하나의 단편임을 의미
- 단편화 오프셋: 전체 데이터그램에서 해당 단편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냄
- 생존시간(TTL): TTL 필드는 데이터그램이 방문할 수 있는 최대 라우터 수를 정의함
- 프로토콜: 근원지 IP에서 페이로드가 캡슐화될 때, 이 필드에 상응하는 프로토콜의 번호가 추가됨
- 헤더 검사합(Checksum): IP는 헤더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합 필드를 추가함
- 근원지와 목적지(Destination Address): 각각 소스IP와 목적지IP주소를 나타냄
- 옵션: 데이터그램 헤더는 40바이트까지 옵션을 가질 수 있음
비연결성[edit | edit source]
IP는 비연결성인 데이타그램을 사용
IP 주소[edit | edit source]
참고 문헌[edit | edit source]
-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